A.네 안녕하세요:)
말씀 주신 것처럼, 카카오는 국내 대기업 중 계열사가 가장 많은 곳 중에 하나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대규모 기업집단 소속 회사 현황에 따르면 올해 1월 31일 기준 144개 계열사를 둔 SK가 1위이고 이어 카카오가 105개를 거느리며 두 번째인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카카오는 페이(결제), 뱅크(은행), 모빌리티(운송), 콘텐츠 등 일상과 관련된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주요 계열사는 각 분야에서 내로라하는 알짜배기 회사들입니다.
이 중에서도 지난해 매출, 이익으로 제일 잘 나갔던 계열사는 카카오커머스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카오커머스는 카카오톡 내 선물하기, 쇼핑 등과 같은 플랫폼 기반 전자상거래 사업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카카오커머스의 매출액은 5735억원으로 계열사 중 1등을 했습니다. 카카오 주요 종속 기업의 전체 매출액 2조6719억원 가운데 약 21%를 차지했습니다. 당기순이익 역시 종속기업 전체 순이익 1980억원 중 62%에 달하는 123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1년 전인 2019년 매출 기준으로는 카카오게임즈가 1등이었습니다. 그러나 1년 사이 카카오게임즈는 매출이 2019년 3220억원에서 2020년 3780억원으로 약 17% 늘어난 반면 카카오커머스는 같은 기간 2960억원에서 5735억원으로 94% 증가했습니다. 카카오커머스의 영업이익, 순이익도 각각 전년보다 111%, 114% 늘었습니다.
카카오커머스가 지난해 10월을 기점으로 카카오 캐릭터 관련 사업을 하던 카카오IX의 리테일부문을 흡수합병했다는 점을 고려해도 높은 성장률입니다. 합병 전 카카오IX의 2019년 매출은 1450억원이며 합병 당시 떼어낸 리테일부문의 기업가치는 카카오IX 전체 기업가치 중 43%(감자비율)입니다. 이를 2019년 카카오커머스 매출에 반영(1450억원×43%=620억원)해 단순 합산(2960억원+620억원=3580억원)해도 합병법인은 60%가량 성장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카카오커머스가 성장하며 카카오에 흘러가는 내부 거래도 확대되었습니다. 카카오커머스는 지난해 카카오에 지급수수료로만 약 1710억원을 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카오커머스가 지난해 5730억원 벌어서 그중 30%를 모회사 카카오에 준 셈입니다. 지급수수료란 특허권 사용료라든지 로열티, 결제 수수료 등을 가리키는 항목입니다. 카카오커머스의 경우 지급수수료 대부분이 결제 수수료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출처 :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4/06/2021040601991.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카카오, 계열사 105개 중 최고 효자는 매출·이익 2배 뛴 ‘카카오커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