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2년 트렌드 키워드가 무엇인가요?

1

앞으로 다가올 2022년의 트렌드 키워드가 궁금합니다!!

`21.10.08(updated. `21.10.12)

질문 수정 제안

제안 쓰기
1 개의 답변
0
A.

안녕하세요!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에서는 트렌드 코리아 책을 통해 매년 새로운 트렌드 키워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트렌드 코리아 2022 책에서 소개하는 2022년의 트렌드 키워드 무엇인지 말씀드리겠습니다.

 

 

1. 나노사회(Transition into a 'Nano Society') 

나노사회란 극소 단위로 파편화된 사회로 사회 및 공동체가 각 개인으로 흩여지고, 개인 또한 더욱 미세한 존재로 분해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머니러시(Incoming! Money Rush)

머니러시란 개개인들이 자신의 수입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N잡을 가지거나, 주식/예금/부동산/음악 저작권 등 다양한 형태의 투자를 통해 수입의 파이프라인을 늘리는 것입니다. 

 

 

3. 득템력(Gotcha Power)

상품 과잉의 시대 속에서 돈만으로는 살 수 없는 것들이 넘쳐나고 있습니다. 경제적 지불 능력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희소한 상품을 얻을 수 있는 소비자의 능력을 득템력이라고 합니다. 

 

 

4. 러스틱라이프(Escaping the Concrete Jungle - 'Rustic Life')

러스틱라이프란 도시 생활을 유지하면서 논두렁 뷰, 밭두령 뷰, 불멍 등과 같이 날것 그대로의 자연, 시골스러움을 지향하는 라이프스타일을 의미합니다. 

 

 

5. 헬시플레저(Revelers in Health - 'Healthy Pleasure') 

젊은 세대들은 더이상 건강과 다이어트를 위해 고통을 감수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헬시플레저란 건강관리에 있어서도 즐거움을 추구하려는 것입니다. 

 

 

6. 엑스틴 이즈 백(Opening the X-Files on the 'X-teen' Generation)

1970년대 이후에 태어난 X세대는 세대 담론의 출발을 알렸던 신세대였습니다. X세대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시대를 모두 경험한 세대로, 현재 자신의 10대 자녀와 함께 라이프스타일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엑스틴 세대라고 합니다. 

 

 

7. 바른생활 루틴이(Routinize Yourself)

바른생활 루틴이란 스스로 바른생활을 추구하면서 루틴을 지키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입니다. 예전에는 자기계발을 생각하면 자기통제식 노력을 의미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자신의 행복과 힐링을 위해 노력으로 변화되었습니다.

 

 

8. 실재감테크(Connecting Together through Extended Presence) 

신한라이프 광고 모델인 가상인간 로지를 아시나요? 가상인간이라고 밝히기 전까지는 실제 인물인 줄 알았던 사람들도 많을 것 같습니다. 실제보다 더 실제 같은 가상을 만들어냄으로써 인간의 존재감과 인지능력을 강화시켜 생활의 스펙트럼을 확장시키는 기술을 실재감테크라고 합니다.

 

 

9. 라이크커머스(Actualizing Consumer Power - 'Like Commerce')

기존에는 쇼핑몰로 향하던 소비패턴이 인스타그램을 하다가 마음에 드는 제품을 발견해서 구매하는 것으로 변화되었습니다. 좋아요에서 시작하는 커머스의 시대를 라이크커머스라고 합니다. 

 

 

10. 내러티브 자본(Tell Me Your Narrative) 

내러티브, 서사의 힘은 브랜딩이나 정치의 영역에서 자기만의 서사를 내놓을 때 강력한 주목을 받습니다. 테슬라의 주식이 오른 이유에는 강력한 서사의 힘이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 참고 내용 : 트렌드 코리아 2022

 

`21.10.08

답변달기

답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