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국내 제철소의 AI 스마트 기술 도입 근황은?

0

국내 제철소의 AI 스마트 기술 도입 근황은 어떤가요?

`23.08.25

질문 수정 제안

제안 쓰기
1 개의 답변
0
A.

안녕하세요

포스코는 지난 17일 포항제철소에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크스오븐 제어시스템을 적용했습니다. 
지난 4월에는 포항제철소 3제강공장 내 용광로의 쇳물 불순물 제거 작업에 AI와 영상인식기술로 해당 공정을 전면 자동화시키기도 했습니다.
포스코는 지난해 광양제철소에 흩어져 있는 300여개의 창고를 통합하는 스마트물류센터를 착공하면서 물류부문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해당 센터는 AI가 사용패턴을 분석해 자재를 자동 주문하고 로봇이 자재 저장·색출 작업도 맡을 계획입니다. 안전 부분에서는 밀폐된 공간의 유해가스 여부를 확인하는 ‘스마트 세이프티 볼’, 700km에 달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점검하는 ‘스마트 와이어 볼’ 도입됐습니다.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배관을 점검하는 ‘스네이크 로봇’도 운영 중입니다.


현대제철은 2025년까지 AI·딥러닝 등을 생산 분야는 물론 경영 전반에 적용해 ‘스마트엔터프라이즈’를 실현할 방침입니다. 회사는 제강·압연 등 전체 생산 공정마다 계측장비를 고도화하고 빅데이터를 통한 AI 기술로 지능형 생산체계를 실현할 방침입니다. 또 ‘디지털 의사결정 모델’을 개발해 데이터·시스템을 기반한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최적의 의사결정 과정을 조성한다는 구상입니다. 현대제철은 4족 보행로봇 ‘스팟(SPOT)’을 고위험 작업에 투입해 지난해 세계철강협회의 안전보건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동국제강 지난 2020년 스마트 팩토리 1단계 도입을 완료하고 올 연말까지 2단계 과정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1·2단계를 추진하면서 로봇팔이 철근에 제품 정보를 용접하는 ‘오토태그머신’을 도입해 사고예방과 제품 정보 오부착을 최소화했다. 후판공정에선 ‘표면 결함 판정 시스템’을 적용했습니다. 또 작업자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는 웨어러블 기기 ‘디블루(D-bLU)’로 안전 관리 시스템을 갖췄습니다.
 

 

감사합니다

산업, 시장 정보는 jobindex

출처: 핀포인트뉴스_똑똑해진 제철소…AI, 생산·물류·안전까지 맡는다

`23.08.25(updated. `23.08.25)

답변달기

답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