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30명 이하 헤드헌팅 회사에 근무하시는 분 계신가요?

0

안녕하세요, 월요일이 지나고 다소 피곤할 수 있는 화요일이네요..^^

나른한 오후 시간 잘 보내고 계신가요.

 

다름이 아니라, 30명 이하 프리랜서 서치펌에서 근무하시는 분들 사내에서 어떻게 DB 등록, 관리가 되고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저희의 경우, 사내 ERP 시스템이 구축되어있으나 시스템에 등록되는 DB는 연간 200건도 안되는 실정입니다. (주요 채용사이트는 모두 회사 비용 지원)
자체 DB 파트가 있지 않고 인원을 늘릴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에 헤드헌터들이 자체적으로 입력해야하는 상황입니다.

 

어떤 기준을 두어야 DB들을 잘 등록/축적될 수 있을지 고민입니다.

저희와 비슷한 상황/규모의 다른 헤드헌팅 회사는 어떻게 운영하고 계신가요? (보상이나 페널티 등?)

운영하였을때 효과(결과)는 어떤지도 궁금합니다.

 

정보를 알 수 없어 게시판 통해 질의드립니다.ㅠ 바쁘시겠지만 정보 공유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24.02.27

질문 수정 제안

제안 쓰기
2 개의 답변
0
A.

30 미만이고, 사내 ERP 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습니다만 마찬가지로 헤드헌터들에게 등록 업무가 가중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람인 등 주 채용 사이트와 자동으로 연동되는 수준의 시스템이 아닌 이상 결국 DB 등록은 업무 효율을 낮추게 되는 게 현시점에선 사실이기도 해서.. 이래저래 골치 아픈 문제네요.

서치펌 법인 입장에서는 DB를 축적하는 게 장기적으로 회사 경쟁력을 늘리는 거기에 주기적으로 DB 입력에 대한 압박이 내려 오곤 합니다만 위에 말씀드렸다시피 대부분 실적을 위해 등한시하는 게 현실입니다.

보상이나 패널티라고 말씀하셨는데, 굳이 말씀드리자면 저희는 패널티라고 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24.03.28
0
A.

아마 대부분의 헤드헌터분들이 30인 미만 서치펌 소속이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한 대부분이 프리랜서 구조이기에 DB입력이 강제되거나 하기도 어려운 여건이긴 합니다.

서로 함께 일하는 분들이 시너지를 내는 부분에 있어 분명 서치펌 자체 DB는 좋은 소스가 될 수 있으나 최근 개인정보보호법 강화의 추세와 맞물려 내부의 정확한 프로세스가 없다면 반대로 부담이 되는 부분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패널티보다는 잘하시는 분들께 보상이 가는 쪽으로 방향들이 많이 잡히는 것 같습니다. 일단 채용을 진행하고 그 안에서 생기는 DB를 함께 했을 때 생기는 시너지와 그 반대급부에 대해 동의 하는 구성원으로 서치펌이 이뤄져야 한다는게 그 출발이 될 것 같습니다.

아닌 상태에서는 그 어떤 좋은 정책이 들어가도 DB 쌓는데는 어려움이 생길 것 같습니다.

 

`24.03.04

답변달기

답변달기

경력직을 위한 뉴스레터 구독 서비스

쉽고 빠르게 채용과 경력정보를 모두 무료로 받아보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