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사업 업무 소개
- 10,603
- 0
- 0
안녕하세요:)
오늘은영화, 방송, 공연, 음악,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장르의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
문화콘텐츠업계의 "애니메이션 사업 업무"에 관해 소개하겠습니다.
[마케팅]
첫째, 채널 브랜드 마케팅으로 채널의 브랜드파워를 강화시킬 수 있는
마케팅 전략 방향을 수립합니다.
채널 캠페인 영상 기획,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활용한 온.오프라인 행사 기획 및 진행 등
브랜드 강화 마케팅을 주도합니다.
둘째, 프로그램 마케팅으로 시청률 제고를 위해 프로그램 별
온에어. 온라인. 오프라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프로그램 인지도와 선호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캠페인. 프로모션을 기획 및 실행합니다.
셋째, 캐릭터 사업 마케팅으로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대한
부가 사업 아이템을 알리기 위한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합니다.
MD상품 개발 및 캐릭터 박람회 등 오프라인 홍보 행사를 기획 및 운영합니다.
넷째, 빠르게 변화하는 온라인, 모바일 환경에서 채널과 프로그램의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수립 및 실행합니다.
또한, 자체 플랫폼 관리를 통해 오라인. 모바일 플랫폼 하에서 경쟁력 있는 콘텐츠.
채널 브랜드를 구축합니다.
[투자기획]
첫째, 국내외 투자작을 소싱합니다.
이후 주 시장에 따른 가능한 수익성 예측 및 투자조건 협상을 거쳐 투자여부 결정하게 되면,
투자 프로세스 진행합니다.
둘째,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투자규모 산정 및 내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문서작성 업무를 하게 됩니다.
이후 투자조건 합의 세부내용 계약서 작성 및 자금관리를 하게 되며,
이에 따라 투자 자금 집행 및 제작물 관리를 진행합니다.
[캐릭터사업]
첫째, 해외 애니메이션의 원작사를 대행하여 국내 사업을 주관합니다.
해외의 유명 애니메이션이 국내 사업에 적합한지를 판단하고
결정된 애니메이션의 국내 사업권을 확보하여
최적의 국내 라이선시를 선정하여 라이선싱 계약을 진행합니다.
둘째, 계약된 상품에 대해 원작사와 라이선시와의 상품 기획, 감수 등의
커뮤니케이션을 중간에서 조율하여 상품이 출시, 유통될 수 있도록 관리합니다.
또한 출시된 상품에 대한 중간 점검(품질 관리, 판매 현황 점검 등)을 수행하고
정기적인 로열티 보고와 매출 계획 등 원작사와의 커뮤니케이션 창구 역할을 합니다.
필요한 필수 역량은?
'마케팅적 사고'입니다.
마케팅적 사고란 시청자의 needs와 문화/트렌드를 파악하는 통찰력,
차별화 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 및 실행을 위한 기획력,
유관부서와의 시너지를 내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인성과 열정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