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헤드헌터가 되고자 합니다. 어떤 자격요건이 필요한가요?
- 15,142
- 0
- 0
Q. 이직에 대한 고민을 이것저것 하다보니 헤드헌타란 업무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자기가 한만큼 벌 수 도 있고 억대연봉도 가능하고 그래서 좀 더 상세히 알아보려는데 정보를 찾기 쉽지 않네요. 헤드헌터가 되기 위해 어떤 자격요건이 필요한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 질문해주신 것 처럼 많은 경우가 있지만, 때론 고객사에 기업의 임원이나 고급 엔지니어등을 소개해주는 헤드헌터란 업무가 매력적으로 다가올 때가 있을 겁니다. 헤드헌터가 되기 위한 자격요건은 상황마다 다를 수 있을텐데.. 공통적인 부분을 한번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직업안정법 제 19조 - 직업상담원의 자격
(1) 소개하려는 직종별로 해당 직종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2)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에 따른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초,중등교육법 및 고등교육법에 따른 학교, 청소년기본법에 따른 청소년단체에서 직업상담, 직업지도, 직업훈련, 그밖에 직업소개와 관련이 있는 상담업무에 2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
(3) 공인노무사법에 따른 공인노무사
(4) 노동조합의 업무, 사업체의 노무관리업무 또는 공무원으로서 행정 분야에 2년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5)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사
(6) 초, 중등교육법에 따른 교원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서 교사 근무경력이 2년이상인 사람 또는 고등교육법에 따른 교원으로서 교원 근무경력이 2년이상인 사람
(7)직업소개사업의 사업소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8)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직업상담사 1급 또는 2급
법적으로 정하는 자격은 위와 같다고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시장에서 헤드헌터를 채용할 때는 어떤 경력을 주로 보게 될까요? 몇개 회사의 채용공고를 참고해보면 아래와 같답니다!
(1) 보통 4년 대졸 이상을 채용
- 기본적으로 영업이나 후보자를 컨택하는 활동에 있어 인맥 네트워크를 많이 활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4년 대졸이상을 채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 특화된 엔지니어나 바이오 연구개발 같은 경우 석사 이상의 헤드헌터 채용자격을 두기도 합니다.
(2)현업경력이 있는 사람을 채용
- 보통 시니어 컨설턴트, PM의 역할을 하는 분들은 10년 이상의 기업체 경험을, 리서처 역할을 수행하는 주니어 컨설턴트의 경우 기업에서 5년이상의 경력을 요구하는 편입니다. 최근에는 대졸 신입으로 리서처를 채용하는 회사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3)외국어가능자 우대
- 헤드헌터에 있어서도 외국어가 가능한 분들은 큰 이점이 됩니다. 영어는 기본 일본어나 중국어의 가능여부에 따라 많은 러브콜을 받으실 수 있답니다. 최근에는 베트남이나 동남아시아어도 장점이 되고 있답니다
(4)외향적이고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탁월한 사람 우대
- 그래서 꼭 인사팀이 아니라 영업부서 출신 분들에 대한 선호도도 높은 편이랍니다.
(5)설득력 있는 사람 우대
- 영업부터 후보자 설즉, 연봉협상까지 사람과 사람을 설득하는 과정의 연속입니다. 외모나 목소리 톤 등에서 신뢰를 주고 설득력을 가진 사람을 우대한다고 하네요~
어떻게 보시나요? 물론 법적 자격요건이 명확이 있는 직업이지만 그외에 업무를 잘 수행하기 위한 다른 요건들을 실제 포스팅된 내용에서 찾아볼 수 있지 않았나 싶습니다. 참고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