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삼성전자의 주요 사업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가장 전망 좋은 사업부문은 무엇인지도 알고 싶습니다.

  • 17,687
  • 0
  • 4

Q. 삼성전자는 정말 규모가 큰거 같습니다. 안하는건 없겠지만 주요 사업이라고 하면 어떤 것을 예로 들어볼 수 있을까요? 또 어떤 사업이 그중에서 가장 유망할까요?

 

 

 

A. 삼성전자는 글로벌에서도 TOP TIER 기업으로 인정 받고 있습니다. 뭐 소니 이런 회사하고 비교하기 민망할 수준이죠. 그래서 삼성전자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다음의 4가지 사업부로 사업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1. CE (Consumer Electronics) 부문

2. IM (Information technology & Mobile communications) 부문

3. DS (Device solutions)

4. Harman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 부문 : 전장 부품 사업

 

 

여기서 알기 쉽게 설명을 드려보자면

 

1. CE 부문의 경우,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제품을,

2. IM 부문의 경우, HHP,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을 담당하며

3. DS 부분은 DRAM, NAND Flash, 모바일 AP, TFT-LCD, OLED등

4. Harman의 경우 Headunits, 인포테인먼트, 텔레메틱스, 스피커 등의 상품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한국의 본사를 거점으로, CE 및 IM 부문 산하 해외 9개 지역총괄과 DS 부문 산하 해외 5개 지역총괄의 생산, 판매법인, Harman산하 종속기업 등 252개의 종속 기업으로 구성된 글로벌 전자기업입니다

 

(정말 많죠?)

 

 

어느 사업부가 좋은가? 라는건 따지기 어렵습니다. 각각의 전망은 어떠할까? 라고 한다면 아래 내용을 조금 참조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CE부문

혁신적인 기술과, 독특한 디자인, 편의성과 가치를 겸비한 제품을 통해 디지털 시대 소비자들의 현재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여 새로운 상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는데 목표를 두고 있음

TV는 CE부문의 핵심으로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 LG등에 의해 초대형 제품에 있어 무한 경쟁 상태에 들어가 있음. 시장에서 8K QLED가 어떻게 성과를 거두느냐에 따라 향방이 갈릴 것으로 보임

 

 

2. IM부문

휴대폰, 태블릿, 웨어러블 제품 등 모바일 관련 스마트 기기를 생산, 판매 하는 사업 부문, 갤럭시 브랜드의 압도적인 사장 점유율을 바탕으로 중저가 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라인업을 갖추고 있는 것이 장점 애플과의 경쟁을 통해 서로 윈윈하는 분위기

앞으로 Flexible OLED 기반의 다양한 기기출현, 고성능 카메라 채용, 생체 인식 센서 및 배터리 충전기술 강화, 삼성페이, AI 서비스인 빅스비 등의 발전이 이슈의 중심이 될 것으로 보임

 

5G 시장이 열림에 따라 단말, 칩셋으로 이어지는 End to End 솔루션의 시장 상황도 커질 것으로 예상됨.

 

-------------------------------

경력직 Hot질문!

Q. 현대자동차의 주요 부문별 매출액?

-------------------------------

 

3. DS부문

DRAM, NAND Flash 등 정보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메모리 반도체 사업의 경우 D램과 NAND Flash 가격이  어떻게 형성 되는가에 따라 전망이 엇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 영업이익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한 부문이기에 글로벌 시장에서의 가격 형성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 보다 커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DS 부문은 모바일 AP, 카메라 센서칩등을 설계 판매하는 System LSI 사업, 반도체 제조 위탁 생산을 하는 Foundry 사업, 액정 화면 표시 장치인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 판매하는 DP 사업등이 있습니다.

 

반도체 분야의 경우 초미세 공정 기술에 있어 중국이나 일본보다 앞선 기술력을 확보하고 유지하는데 있어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은 LSI사업 이기도 한데 모바일용 반도체에서 앞으로 차용용 반도체 사업으로 확장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4. Harman부문

자동차 전장 부품 분야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보여집니다. 커넥티드카 시스템, 오디오/비디오 제품, 프로페셔널 솔루션 및 커넥티드 서비스 사업분야는 모든 자동차 제조업에서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하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19.10.02(updated. `20.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