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서비스의 변화 '핀테크', 국내 현황

  • 10,734
  • 0
  • 2

'포스트 코로나' 시대,  ICT기술의 발달과 함께 비대면 금융거래를 기반으로 언택트 경험이 커지면서 금융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핀테크란? 금융의 Finance 와 기술의  Technonogy 의 합성어로 금융과 기술의 모바일 AI빅데이터 등의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금융 서비스 및 산업을 의미합니다.

 

핀테크는 크게 송금결제/ 데이터분석/ 소프트웨어/ 플랫폼 4가지로 영역으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그 중 총 6개의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간편한 송금/결제 서비스는 수수료가 저렴한 송금 및 지급 결제서비스로 세부적으로 온라인 결제, 외환거래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토스가 대표적인 간편 송금 핀테크 기업 입니다.

 

(2) P2P 금융은 금융관의 개입없이 기업 및 개인이 자유로운 금융거래가 가능한 거래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 중 , P2P대출, 크라우드펀딩 으로 국내 대표기업으로는 테라펀딩과 와디즈가 있습니다. 

 

(3) 인터넷 전문은행은 카카오톡,  케이뱅크와 같이 무점포로 인터넷을 주요 영업 채널로 활용하여 비대면으로 은행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4) 개인 및 기업의 알고리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신규 부가가지를 창출 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개인자산관리(PFM) 이 있다. 국내 기업중에서는 뱅크샐러드가 대표적입니다

 

(5) 인슈어테크란 , 보험+IT의 합성어로 빅데이터를 통해 자산관리뿐만 아니라  보험금 청구 간소화, 고객 맞춤형 상품 추천 등 새로운 보험서비스를 말한다. 구내 기업 중에서 대표적으로 보맵이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핀테크 산업과 서비스로 발전하면서 국내 핀테크 산업의 규모 역시 커지고 있습니다. 국내 핀테크 투자 규모는 7억5600만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 267% 성장하했습니다. 최근 정부의 핀테크 관련 정부정책, 마이테이터 사업관련 정책이 승인이 나면서 8월 5일 이후 본격적으로 금융권 뿐만 아니라 대형IT업체, 스마트업 등 비금융 업체의 고객 맞춤형 금융상품, 자문 등의 서비스 개발에 힘쓸 것으로 전망됩니다. 

 

핀테크 산업의 성장과 함께 심각한 구직난 속에서도 기업의 IT인재 채용은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이 다음으로, IT 관련 인재 채용 중인 기업을 알아봅시다!

 

 

 

 

[ 코로나19 속에서 소중한 인재를 찾습니다]

https://www.jobindexworld.com/contents/view/5721

`20.06.11(updated. `20.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