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헌터 인터뷰 콘텐츠 ] 써치앤컴퍼니 김강필 상무

  • 10,559
  • 1
  • 2

 

써치앤컴퍼니 김강필상무님은 IT, 반도체 장비업체, 2차전지, 전자기기, 마케팅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해당 분야 채용에서 다양한 성과를 쌓아왔습니다. 후보자와 고객사를 조율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공감력, 센스가 뛰어난 전문 컨설턴트 '김강필 상무님' 을 지금부터 만나봅시다! 

 

 

 

 

[ PROFILE ]

김강필상무 / 써치앤컴퍼니  - "우수인재와 더불어 성장하는 최고의 파트너가 되겠습니다"

업종 : 반도체, it, 소비재, 전기전자

 

 

 

 

01. 안녕하세요, 써치앤컴퍼니 김강필 상무님 현재 어떤 업종이나 직무를 주력으로 하시나요?

IT(인프라기획, 시스템엔지니어, 웹 및 응용프로그램개발, PM, 솔루션영업) 프로젝트와 반도체 장비업체 (장비영업, 기구설계, 장비응용프로그램개발) 그리고 2차전지 및 전자기기 제조사 영업, IT기획, 마케팅 등의 프로젝트를 주로 수행했습니다.

 

 

 

 

02. 헤드헌터를 하시기 전 어떤 업무를 하셨나요? 또한, 여러 분야를 경험하시면서

가장 잘 맞으셨던 분야는 무엇입니까?

헤드헌터를 하기 전 국내 대기업 SI회사에서 개발과 프로젝트를 수행했고,4년 10개월 근무한 헤드헌터로서 솔루션 영업과 IT기획, 인프라 엔지니어 및 마케팅 부문이 가장 잘 맞았습니다. 또한, 업무 경험에 의한 인재 섭외가 가장 잘 맞습니다.

 

 

 

 

03. 최근에 진행하시는 프로젝트 분야의 채용 트랜드는 어떠한가요?

최근 중소기업 IT인력(시스템엔지니어, 개발자) 프로젝트를 가장 많이 진행했는데 수요에 비해 역량 있는 개발자들의 수가 적고 프리랜서의비중이 많았습니다. 정규직 포지션의 경우 고객사 입장에서는 이직이 적은 후보자들을 선호하나, 후보자 입장에서는 프리랜서로근무하기를 선호하기 때문에 인력소싱이 매우 어렵습니다.  또한 경력직의 경우 처우 협의에 있어 힘든 경우가 많고 최종 합격까지 이탈의 비중이 높습니다.

 

 

 

 

04. 집중분야나 프로젝트에 있어 우선순위를 정하는 기준이 어떻게 되시나요?

[ 우선순위 기준 ]

1. 가장 시급한 회사의 포지션

2. 인사담당자의 피드백이 얼마나 빠르고 정확한가?

3. 후보자들의 지원이 많은가?

 

 

 

05. 고객사나 후보자와의 관계에 있어 상무님만의 최대 강점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회사와 경력직 후보자의 중간다리 역할인 헤드헌터는 회사에서 흔히 가성비 후보자를 그리고 후보자에게는 튼실한 회사를 소개하며 서로 윈윈을 추구하는 업종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양쪽을 조율하는 커뮤니케이션으로 서로 오해하지 않고 업무에서 좋은 성과를 발휘하도록 회사와 후보자들에게 컨설팅을 제대로 하는 능력이 저의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06. 후보자를 발굴하거나 설득하기 위해 이정도 까지 해봤다, 하는 인상깊은 경험이 있으신가요?

중국 프로젝트로, 신규런칭한 중견 반도체업체의 신사업 추진 팀장을 섭외하기 위해 인천공항까지 가서 사전 인터뷰하고 그 분이 회사 인터뷰까지 잘 마칠 수 있도록 에스코트 했던 기억이 남습니다. 프로젝틔 성공을 떠나서 진땀을 가장 많이 흘렸던 프로젝트라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07. 후보자가 추천한 회사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어떤 사항을 가장 중요하게

이야기 하시는 편인가요?

[ 중요시 하는 것들 ]

1. 회사의 비전

2. 업종의 발전 가능성 

3. 가장 중요한 조직의 분위기

4. 선 입사자의 코멘트 위주로 설명

 

 

 

 

08. TOP 헤드헌터로 앞으로 어떤 비전과 목표를 가지고 있으신가요?

프리랜서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일한만큼의 보상이 따라와야 하고 시간과 정성을 투자한 만큼 매출이 있어야 하기에 현재보다 향후 매출을 더 높게 설정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양질의 고객과 후보자들을 매핑하는 컨설팅 능력을 더 향상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업별 정보를 한눈에 jobindex

`20.12.21(updated. `2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