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INDEX] : 잘 봐, 오늘의 업계별 소식이다(21.11.18)
- 6,245
- 3
- 4
안녕하세요:) JOBINDEX 입니다!
잡인덱스에서는 실시간 업계별 소식뿐만 아니라, 관련된 채용 소식도 모아 알기 쉽게 전달해드립니다:)
오늘의 이슈를 한눈에 알아보고, 마음에 드는 공고가 있다면 확인해서 지원까지 해보시는 게 어떨까요?
📂 업계별 이슈 _ 2021.11.18(목)
✅ IT업계
◾ 네이버, 신임 CEO로 '하버드 출신' 81년생 최수연 파격 발탁
https://n.news.naver.com/article/057/0001622185
네이버가 17일 이사회를 열고 'MZ세대' 1981년생인 최수연 글로벌사업지원부 책임리더를 새 사령탑으로 내정했습니다. 1999년 회사 창립 이래 가장 파격적인 경영진 개편인데요. 젊고 국제감각과 전문성을 갖춘 리더를 발탁해 역동적인 조직을 구축하고 글로벌 사업을 강화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됩니다.
✅ 유통업계
◾ 투자에 빠진 유통가
https://biz.chosun.com/distribution/channel/2021/11/17/325SDSBJYVG5JKIGFNIXRBJZCY/
유통업계가 상품 판매에 투자를 접목하고 나섰습니다. 소비의 중심으로 떠오른 2030세대 젊은층이 지난해 주식, 가상화폐 열풍을 계기로 재테크에 관심을 기울이자 투자를 상품 마케팅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마트24는 도시락 구매 시 추첨을 통해 음악 저작권을 주고, 롯데그룹은 미술품 조각투자도 선보였습니다.
✅ 식품, 외식업계
◾ 해외 푸드테크에 눈 돌리는 CJ·롯데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629779
푸드테크산업에 꽂힌 식품·유통 대기업들이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룹 내 기업형 벤처캐피털(CVC)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 직접 사내 투자전담 조직을 꾸려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해외에 벤처투자법인을 세우기도 합니다. 코로나19 이후 급변하는 식품시장 흐름 속에서 미래 먹거리를 찾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금융업계
◾ 금융위원장 "카드사의 종합 페이먼트 사업자 발전 지원하겠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799560
고승범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취임 후 처음으로 여신전문금융업계와 만나 카드사의 종합 페이먼트 사업자로 발전을 지원하겠다고 17일 밝혔습니다. 또한, 카드사와 캐피탈사가 생활 밀착형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관련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해나가겠다고 했습니다. 고승범 위원장은 이날 여신협회에서 신한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비씨카드, 현대캐피탈 등 여전업계 최고경영자들과 만나 여전업 발전 방안과 현안을 논의하면서 이런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 제약업계
◾ 유한양행, 반려동물 의약품·진단 기업에 지분 투자 확대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801005
국내 제약사 중 처음으로 반려견 치매 치료제를 출시한 유한양행이 반려동물 의약품과 진단기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습니다. 18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최근 성보펫헬스케어, 네오딘바이오벳, 주노랩 등 반려동물 관련 헬스케어 기업의 지분을 각각 확보했습니다.
✅ 자동차업계
◾ 대세로 떠오른 전기차… 인프라 확대가 우선
https://n.news.naver.com/article/396/0000597325
전기자동차 판매 및 공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인프라 확장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17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전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는 급속 1만831기, 완속 6만641기 등 모두 7만1472기로 집계됐습니다. 여기에 신규 아파트 등 집계되지 않은 충전기 등을 포함하면 현재 10만기가 넘어선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 건설업계
◾ “인건비·시간 줄이고 안전도 높이고”…건설업계 ‘모듈러’ 총력전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111109229b
집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과 전세 대출 규제로 ‘내 집 마련’에 대한 수요가 큰 탓도 있지만 집을 지을 때 투입되는 인건비와 시간이 늘어난 영향도 있습니다. 건설업계는 이 같은 문제의 해결책으로 ‘모듈러’를 선택했습니다.
✅ 화장품업계
◾ 아모레는 인니, LG생건은 미국 신시장 개척 속도 내는 ‘K뷰티’
https://biz.chosun.com/distribution/fashion-beauty/2021/11/18/NTDXN74IIFDWBITGFEW2DUJTIM/
국내 화장품 ‘빅2’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해외 사업 영토 확장을 본격화하고 나섰습니다.
해외 매출의 최대 70%를 차지하는 중국에서 최근 애국 소비를 권장하는 ‘궈차오(國潮)’ 바람이 불면서 K뷰티의 위상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모레퍼시픽은 인도네시아를, LG생활건강은 미국을 각각 새로운 사업 영토로 정하고 나섰습니다.
✅ 항공업계
◾ "국제선 수요, 2023년에야 회복…백신 보급이 핵심"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088353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선은 2022년, 국제선은 이르면 2023년이 돼야 2019년 수준으로 회복이 가능하다는 항공업계 전망이 나왔습니다. 여객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국제선이 제대로 회복세에 접어들기 위해선 백신 보급이 핵심이라는 진단입니다.
🔎 함께보면 좋을 업계별 경력직 채용정보👀
📢 유엔이커뮤니케이션즈 Java 개발자 모집
📢 자원순환 모바일 플랫폼 기업 Product Owner 5년이상
📢 웹프론트/하이브리드 앱 개발3년이상 IN 자원순환 모바일 플랫폼 기업
📢 딥러닝팀장 - 머신비전/AI 딥러닝
📢 데이터플랫폼 모바일(APP)기획 대리급
📢 플랫폼대기업 / 데이터엔지니어 팀장(과장~부장급)
내일의 업계별 이슈와 채용 소식이 궁금하다면?👀
잡인덱스에서 간단한 회원가입 후, 다양하게 즐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