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업/JD분석] 버킷플레이스(오늘의집) - 프로덕트 오너(Product Owner)
- 3,522
- 4
- 3
헤드헌터 업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바로 JD 분석이라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JD에는 기업이 어떤 배경을 가진 사람을 찾는지, 조직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하며 결과를 도출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헤드헌터 분들의 업무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오늘 준비한 직무는 미니 CEO라고도 불리는 ‘프로덕트 오너’입니다😊
오늘의집 채용공고를 통해 프로덕트 오너가 어떤 직무인지 더 자세하게 살펴봅시다:)
✅ 버킷플레이스(오늘의집)는 어떤 기업인가요?
오늘의집은 2014년 설립된 인테리어 관련 상품 판매, 시공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설립 초기 커뮤니티 형태로 시작했다가 최근엔 가구·인테리어 소품 판매, 인테리어 시공 중개 서비스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작년 8월 기준 월간 사용자 수(MAU)는 540만명으로 국내 최대고, 누적 거래액은 2조원을 돌파하며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인테리어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 기업구분 : 중소기업
- 대표자 : 이승재
- 설립일 : 2014.07.11
- 자본금 : 337억원(2021년 기준)
- 매출액 : 1,864억원(2022년 감사보고서 기준)
- 사원수 : 627명(2023년5월기준)
- 회사위치 :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74길 4 삼성생명서초타워 25, 27층
- 상장여부 : 비상장
- 홈페이지 : https://www.bucketplace.com/
👉🏻 오늘의집은 최근 2300억 원의 신규 투자를 받았으며, 2조원 이상의 기업 가치를 평가받아 설립 8년 만에 유니콘 기업에 등극했습니다. 또한, 넘버원 라이프스타일 테크 컴퍼니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개발자 채용을 크게 늘리고 있으며, 머신러닝과 3D, AR 등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물류 네트워크를 혁신하기 위해 관련 인력도 적극적으로 채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사업영역을 확장함으로써 여러 직군에 대한 채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 ‘프로덕트 오너’는 어떤 직무인가요?
프로덕트 오너(Product Owner)란 프로덕트에 대한 로드맵, 전체 일정을 관리하고 개발, 디자인 등 관계된 사람들과 업무를 조율하며,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프로덕트가 고객을 만나기까지 모든 과정에 관여하고 책임을 갖고 있기에 ‘미니 CEO’라 불리기도 하는 직무입니다.
✅ ‘오늘의집’ 커머스서비스팀 프로덕트 오너 JD분석
*오늘의집, 커머스서비스는 어떤 팀인가요?
커머스 서비스팀은 고객이 상품을 발견하고 구매 의사 결정까지 오늘의집 스토어 전반의 고객 경험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라이프스타일 상품을 구매할 때 오늘의집을 가장 먼저 찾을 수 있게 하기 위해 고객 경험을 혁신합니다
[주요업무]
- 담당 프로덕트의 목표와 로드맵 수립
- 주요 지표를 성장시키는 프로덕트 가설 수립 및 검증
- 끊임없는 Iteration을 통한 프로덕트 고도화
- 고객 문제 정의 및 해결을 통한 프로덕트-비즈니스 성장 드라이브
[자격요건]
- 5년이상의 Product Owner 또는 이에 준하는 직무를 경험하신 분
- 이커머스 서비스에서 주문, 결제, 배송, 클레임, 정산, 쿠폰 관련 시스템 구축 및 개선을 경험하신 분
- 지표 설정 및 데이터 기반의 의사 결정하는 마인드셋을 가지고 계신 분
- 애자일한 프로세스를 통해 유효한 성공을 했거나, 유의미한 실패 경험을 가지고 계신 분
[우대사항]
- SQL을 활용한 데이터 추출 및 분석 경험이 있는 분
- 산업공학, 컴퓨터공학 관련 학위 소지자 또는 개발 경험이 있는 분
✅ 채용공고를 통해 본 ‘프로덕트 오너’의 주요 키워드는?
1. 업무
프로덕트 오너는 오너십을 가지고 사용자에게 최고의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게 되는데요,
✔️보통 서비스의 지표와 검색 로그 분석, 사용자 인터뷰 및 리서치 수행
✔️조사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개선사항 기획
✔️프로덕트 디자이너 및 개발자와 협업
✔️프로젝트 관리
✔️배포 이후, 데이터를 분석하여 팀원에게 제공하고 새로운 개선사항에 대한 영감을 얻도록 돕는 사이클을 반복합니다
> 결국, 프로덕트 오너는 고객 경험 최적화를 위해 의사결정을 하고, 팀을 관리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업무를 합니다.
2. 중요하게 생각하는 ‘프로덕트 오너’의 핵심역량
1.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 프로덕트 오너의 업무는 실험의 연속입니다. 끊임없이 가설을 세우고 검증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의사결정할 수 있는 능력은 필수적입니다.
2. 관계구축
: 팀이 가장 가치 있는 결과를 내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재능과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융화될 수 있게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3. 끈기 혹은 집요함
: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팀원들을 이끌고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끈기가 필요합니다.
4. 문제해결능력
: 프로덕트 오너는 다양한 이슈와 문제를 해결하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문제 해결 능력과 분석 능력이 필요합니다.
3. '프로덕트 오너' 핵심역할
프로덕트 오너의 핵심역할을 아래와 같이 정의해보실 수 있습니다.
- 고객을 대변하면서 사업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설 설정
- 가설을 검증할 방법을 계획하고, 개발 및 디자인 요구사항 정의
- 성공 지표, 세부 지표 등을 검토하고 데이터 분석 진행
- 에픽, 스토리 등의 개발 티켓 생성
- 사용성 테스트 진행 후 고객 피드백을 정리하고 공유
- 고객 및 유관 부서와의 소통을 통해 개발 백로그 관리
(*참고 : 김성한 <프로덕트 오너>)
4. '오늘의집' 프로덕트팀 조직구성
오늘의집 프로덕트팀은 Cross-functional 하게 구성되어 있어 개발자, 프로덕트 디자이너, PO가 한 팀을 이뤄 협업하고 있습니다. 하나의 프로덕트팀에는 여러 명의 PO가 있고 PO Lead가 팀 전체를 리드하는 구조입니다.
5. 우대사항
개발팀과 협업이 많기 때문에 산업공학, 컴퓨터공학 관련 학위 소지자를 우대하며,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하기 때문에 GA, SQL등 분석 툴을 잘 다뤄야 합니다.
프로덕트 오너라는 직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는데요:)
⭐오늘의집 프로덕트 오너 채용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서 자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참고
- DBR, 업무역량 끄집어 내는 것은 인재활용, 성장시키며 성과 내는 것이 인재 경영
- 김성한 <프로덕트 오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