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PE-Private Equity) 업무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자
- 16,307
- 0
- 0
사모펀드, 뉴스나 신문에서 자주 등장하는 녀석인데 정확하게 이것이 뭐하는지 모를 때가 많습니다. ㅇ오늘은 사모펀드 업무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며 그 안에서 이직의 기회요소가 무엇이 있는지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모펀드 - 통상적으로 50인 미만의 소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모집하는 펀드를 의미, 사모투자 전문회사로 운용사가 비공개적으로 투자자들을 모집하여 그들로부터 장기자금을 조달한 다음 저평가 기업등에 투자를 하여 고수익을 추구하는 펀드
- 수십억원에서 수조원을 투자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함(연금, 기금, 보험사 등)
- 투자 대상이 되는 회사의 지분을 취득하여 경영활동에 참여하고, 회사의 가치를 높인 후 일정기간 이후 되팔아 수익을 창출함
- 3~5년의 장기투자를 하기 때문에 단기적인 대외 이슈에 따른 기업가치 변동으로부터 조금 더 자유로움, 회사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기업가치 개선 활동을 할 수 있음
- 사모펀드에는 크게 투자자(Limited Partnership, LP)와 투자를 받는 사람들(운용사, General Partnership, GP)이 있는데 이때 GP들은 크게 두가지를 통해 수익창출. 첫번쨰는 자본에 대한 운용수수료이고 두번쨰는 초과 수익률. 운용수수료는 자산에 대한 운용의 대가라고 보면된다. 운용 성과가 특정기준 이상이라면 초과수익에 대해 취하는 것.
사모펀드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사모펀드는 보통 경력직을 채용하기 때문에 투자처를 발굴하는 분석력과 기업 가치를 벨류에이션할 수 있는 능력은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함. (기업금융, 주식 리서치등 기업 벨류에이션 업무를 진행한 부서에서 이직하는 경우가 많음 / 이외 기업 벨류에이션 및 오퍼레이션을 다루는 전략 컨설팅에서도 이직하는 경우도 있음)
사모펀드에서 성공하기 위한 요소는?
"사모펀드에서 성공하려면 시장에 대한 거시적 시각, 분석능력, 산업에 대한 전문성이 필요하다"
적절한 투자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거시경제 전반적인 흐름을 볼 수 있는 능력이 필요. 큰 흐름을 보았을 때 어떤 투자 대상이 미래에 수익을 가져다줄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