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사업 업무 소개
- 10,603
- 0
- 0
안녕하세요:)
오늘은 영화, 방송, 공연, 음악,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장르의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
문화콘텐츠업계의 "영화 사업 업무"에 관해 소개하겠습니다.
[기획]
시장성 높은 영화화 가능 아이템의 발굴하고 발굴된 아이템의 영화화를 기획합니다.
또한, 주요 크리에이터와의 협업을 통한 영화 시나리오 개발, 유망 신인 감독,
작가를 발굴하는 역할도 담당합니다.
[배급]
‘극장 배급’ 업무는 완성된 영화를 최적의 시기와 규모로 관객들에게 공급하기 위해
‘개봉 영화의 스크린 계획 및 관리’, ‘라인업 관리’, ‘매출 관리’, ‘극장 마케팅’ 등의 업무를 진행합니다.
또한, 시장 상황 및 경쟁 상황을 예측,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연간 포트폴리오 전략 및 계획을 수립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부가판권’의 업무는 VOD, 인터넷 다운로드, 케이블 TV, 공중파,
홈비디오(DVD, 블루레이)로 영화를 접하는 것과
더불어 영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공연, 소설, OST 등과 같은
2차적 저작물에 대한 계약/관리까지 진행합니다.
[글로벌]
시장조사, 시나리오 발굴 및 개발, 오리지널 아이템 기획, 영화 제작뿐만 아니라,
투자기획 및 계약 진행, 배급 및 마케팅,
정산 및 부가판권 진행을 포함하여 향후 외국과의 합작영화 사업의 안정적 성장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사업 시스템 수립 업무를 수행합니다.
필요한 필수 역량은?
상업영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아이템에 대한 날카로운 상업적 판단력이 필요하며,
이를 영화화가 가능하도록 작업하는 과정에서는 Creative Leader로서 스토리텔링 크리에이티브,
커뮤니케이션 능력뿐만 아니라 지구력과 폭넓은 인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다양한 플랫폼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최신 트렌드에 대해 관심이 높고,
새로운 기술, 장비 등에도 관심을 기울어야 합니다.
또한, 해외 문화에 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이해와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깊이
있는 문화 경험과 심도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유창한 어학 실력 역시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