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사업이란?

  • 11,938
  • 0
  • 0
 




안녕하세요 :)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연사업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공연사업은 크게 4가지의 직무로 나뉠 수 있는데요.
하나하나 자세히 알아보도록 합시다.

1) 투자/기획

단순한 재무적 투자자가 아닌,
공동제작이란 전략적 투자를 기획 및 실행하며
이러한 전략적 투자기획을 통하여, 
공연사업유닛은 우수콘텐츠의 안정적 수급을 통한 
수익창출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시스템을 공연시장에 접목하여, 
공동제작사와 발전적 상생관계 및 
공연시장의 양적 질적 향상에 기여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공연장 운영

공연장 운영은 공연사업의 
안정적인 플랫폼을 구축하는 직무입니다.
이를 위해 공연 프로그래밍, 공간운영, 마케팅, 
기술운영, 행정 업무에 이르기까지 
공연장 운영 전반에 걸친 업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서울지역을 포함한 수도권 공연장과의 
강한 연대와 지방 유통 네트워크 구축 전략을 통해 
신규 수익 창출에 기여해야 합니다.


3) 마케팅 

마케터는 경영목표 달성을 위해 
작품 별 마케팅 방향성 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마케팅 파트너사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작품의 홍보 마케팅을 전반적으로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를 위해 마케터의 업무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장분석 - 작품개요를 바탕으로 한 경쟁작 & 시장분석

2. 마케팅 컨셉회의 - 1차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작품의 주요 키워드 & 컨셉 설정

3. 1차 관객 FGI 진행 - 마케팅 컨셉회의를 통해 
설정된 내용으로 관객과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

4. 마케팅 기획안 작성 - 컨셉회의와 1차 FGI의 결과값으로 기획안 작성

5. 2차 관객 FGI 진행 - 기획안을 바탕으로 
포스터 디자인부터 카피, 캐릭터의 매력도 등 
마케팅에 필요한 모든 사항들에 대해 
관객과의 합일점 도출

6.. 마케팅 Action Plan - 최종 마케팅 기획안 작성

7. 주요 이벤트 - 제작발표회 + 미디어콜 + 티켓오픈 
+광고 프로모션 진행 등 세일즈 관리 및 분석


4) 글로벌사업

글로벌기획은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해외공연사업을 총괄하는 부서로서, 
글로벌기획인력은 해외라이선스 공연물 도입뿐만이 아닌 
자체기획 및 제작과 공동제작을 병행한 
글로벌향 콘텐츠사업의 계획 및 진행 업무를 수행합니다. 
성공적인 업무 수행으로 확보된 Success Library를 
해외에 라이센싱하여 마켓을 확장하는 동시에 
시장지배력을 강화하여 공연사업의 가치를 확대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19.01.28(updated. `19.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