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헌터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 10,397
- 0
- 0
헤드헌터는 이직을 원하는 후보자에게 커리어 관련 조언해주는 컨설턴트이며, 고객(기업)에게는 고급인재의 원활한 수급과 인재의 적재적소 배치를 하는 역할을 합니다.
1. 직장경력이 없는데 헤드헌터를 할 수 있나요?
[자격조건]
1.1 4년제 대학, HRD(인력개발) 관련 학과 졸업
1.2 리서치 업무 4~5년
1.3 한 업종에서 10년 이상의 직장 경험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헤드헌터는 다른사람의 커리어에 대한 상담을 해주고 기업이 원하는 포지션에 알맞는 인재를 찾는 역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직무관련 이해도가 높아야죠. 신입의 경우 다양한 산업과 직무관련 이해도가 낮기 때문에 전문 헤드헌터로 바로 시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보통 시니어 컨설턴트의 경우 현업경험 10년 이상, 리서처의 경우 5년 이상의 현업 경험이 요구됩니다.
서치펌에서 리서처부터 시작해, 헤드헌터와 협업을 통해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헤드헌터 우대조건
2.1 관련 경력 2년이상이 있는 사람
2.2 직업소개사업소,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학교, 직업상담, 직업지도, 직업훈련, 기타 직업 소개와 관련이 있는 상담업무에 2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
2.3 공인노무사
2.4 노동조합업무, 노무관리업무, 공무원 행정 분야 2년이상 경력이 있는 사람
2.5 사회복지사
2.6 교사 근무기간 2년이상인 사람
2.7 직업소개사업 종사 2년이상인 사람
2.8 직업 상담사 1급 또는 2급
3. 헤드헌터 필요역량?
3.1 직무/산업 동향 분석력
헤드헌터는 한 분야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과의 유대 관계 및 산업의 특징 이해, 구직자 경력 상담 등을 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합니다. 또한, 직무와 산업 동향 등을 분석하고 숨어 있는 시장을 파악할 수 있는 분석력이 필요합니다.
3.2 외향적
헤드헌터는 다양한 분야와 업계의 사람들과 만나 이야기 해야합니다. 지인이나 지인 주변의 핵심인재를 소개받고 소개해주며 Co-work을 통해 채용을 성사시기키도 한다. 성사가 되지 않은 후보자가 있어도 그의 지인을 추천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꾸준히 쌓아가야한다.
또한, 짧은 미팅동안 대화를 통해 포지션에 부합하는 후보자인지 아닌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대화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빠르게 성격, 인상, 역량, 성향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
3.4 영업력
헤드헌터의 일은 고객사에서 프로젝트 수주를 받는 순간 부터 시작됩니다. 헤드헌터는 이미 직장이 있는 후보자에게 일자리를 영업하는 것과 같습니다. 현업 때 지인을 통해 처음 몇번은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겠지만 해당분야에서 석세스를 내지 못한다거나, 기존 인사담당자가 바뀌어 고객사를 잃게 되었을 때는 고객사 확보를 위해 영업을 해야합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를 Click
Q. 헤드헌터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https://www.jobindexworld.com/circle/view/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