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회사 품질관리(QC) 경력직 채용 시, 어떤 부분을 중점을 봐야할까요?
- 4,142
- 2
- 2
의약품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원료와 자재 그리고 제품이 환자에게 공급되기까지의 전 제조 과정과 품질을 이화학, 미생물, 생물학적 등의 시험을 통해 평가하는 품질관리QC는 제약회사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아주 중요한 직무인데요,
그렇다면 제약회사 품질관리(QC) 경력직 채용시, 어떤 부분을 중점으로 체크 해봐야할까요?
1. 분석적 사고, 운영 프로세스 이해
회사나 나라별 시험 방법과 평가에 따른 분석, 기록을 해야 하는 업무이므로 전반적인 생산 라인과 운영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가 꼭 필요하며, 시험분석 결과에 대한 정확한 판단 및 다각적 분석 능력이 필요합니다.
2. GMP 규정 이해
GMP 규정에 대한 목적성을 명확히 이해하고 규정에서 요구하는 것을 직접 SOP(표준방법서)로 어떻게 기록, 관리해 나가야 하는지 이해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3. 꼼꼼함, 정확한 일 처리
품질관리 업무는 미세한 실수가 큰 결과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GMP를 준수하고 정해진 시험법에 따라 업무를 진행해야 하며, 꼼꼼함과 정확한 일처리 능력은 필수로 체크해야 될 사항입니다.
4. 기기분석
화학분석은 기기분석을 이용하여 제조공정 중 일어나는 화학적 오염과 최종 완제품의 분석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는 HPLC, GC, IR, UV 등 많은 기기를 다룬 경험은 필수입니다.
5. 문서작업능력
시험 못지 않게 문서작성 업무도 많기 때문에, GMP규정을 알고 그에 맞는 문서를 작성할 수 있어야 하며, 시험분석에 대한 품질문서 및 전자문서 관리 수행 경험도 중요합니다.
6. 제품규격서 작성
품질분석 시험방법은 규격화되고 검증된 절차에 따라 시험합니다. 대부분의 분석은 KP 혹은 해외 의약품 공정서(USP, JP, EP 등)에 기술된 공인된 방법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각종 제품규격서에 맞게 작성할 줄 알아야합니다.
7. 밸리데이션 관련 경험
ICH 가이드라인 및 USP에 기초하여 밸리데이션 계획서를 작성하고, 밸리데이션 중 PV, MV, CV 경험도 중요합니다.
제약회사 품질관리(QC) 경력직 인재를 찾고 계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