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 서비스가 인사 담당자분들의 업무에 얼마의 가치가 있을까?
- 2,611
- 0
- 0
채용 서비스가 인사 담당자분들의 업무에 얼마의 가치가 있을까요? 이 서비스 뒤에 숨겨진 진짜 비밀
채용 서비스(그게 IT적인 플랫폼이거나 헤드헌팅, 채용대행, 아웃소싱 등일수 있겠죠?)는 공석에 대한 후보자를 효과적으로 찾고 고용하기 위해 도움이 필요한 회사에 유용한 서비스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채용 서비스가 비용의 가치가 있는지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일부 채용 서비스는 회사가 직원을 찾는데 과도한 비용을 발생시키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인사업무에 부하를 주기도 합니다. 따라서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기 전에 채용 서비스의 레퍼런스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채용 서비스와 서비스 사용의 이점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고자 합니다.
그럼 오늘날의 채용 서비스란 무엇일까요?
채용서비스 회사는 일반적으로 채용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업이 채용하고자 하는 포지션에 대한 후보자를 찾고 고용하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채용 서비스는 인재 풀 생성, 후보자 선별, 후보자 소싱 또는 후보자 모집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예를들어 사람인, 잡코리아, 잡인덱스, 링크드인, 인크루트, 피플앤잡 등의 사이트를 들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원티드, 리멤버 등의 서비스도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외 인하우스 리크루터분들이 늘어나면서 DB관리, 채용의 전반적인 관리를 위해서, 플렉스, 그리팅, 심플리(https://simplre.co.kr),JOBDA 등 채용관리 솔루션들의 사용빈도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회사가 신사업을 전개하거나, 포지션에 빠른 대체를 원하는 경우 등 사정에 따라 사용하는 전통적인 헤드헌팅 서비스에서는 일반적으로 고용된 직원의 급여를 기준으로 수수료를 청구합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채용하는 직원 연봉의 15%에서 30%까지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핵심인재 채용시장이 과열되면서, 국내도 헤드헌팅 서비스가 계속해서 커지고 있습니다. 우수 인재 채용을 빠르게 하는 것이, 적당한 사람으로 회사 내부 대체를 했을 경우보다 회사에 더 큰 이익을 가져다 준다는 것을 많은 회사들이 이해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되다보니, 시장에서 전문 헤드헌터분들의 수는 한정적이고, 채용을 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많아지면서 미스매칭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회사에 맞는 채용 서비스를 알맞게 쓰는 것은 채용담당자분의 역량이 될 수 있습니다.
채용 서비스 사용의 이점
1. 업계 전문 헤드헌터 활용
기술직 또는 특정 산업 분야에서 채용하는 경우 전문 헤드헌터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해봐야 합니다. 채용팀에서 분석하고, 시장조사하고 타겟을 물색하는 동안 경쟁사에 채용된 전문 헤드헌터는 빠르게 타겟에 접근해서 설득작업을 진행하고 있을 겁니다. 업계 전문 헤드헌터분과 협업을 한다는 것은 결국 회사가 채용하고자 하는 우수인재에 경쟁사 보다 빠르게 어필할 수 있는 전략이 될 것입니다.
또한 후보자를 선별하고 후보자 풀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에 후보자를 선별하고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전문 헤드헌터를 만나면 적합한 후보자를 성공적으로 채용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유연성
채용 기업은 할 수없지만, 그 할 수 없는 부분을 대체 할 유연한 채용 솔루션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유연한 솔루션을 사용하면 필요한 서비스를 쉽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부 채용 담당자가 후보자를 찾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경우 헤드헌터를 찾거나 다른 채용플랫폼을 찾아 포스팅을 늘리는 등 후보자를 찾는 채널을 확대해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인재 풀이 많지만 이들을 선별하고 인터뷰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경우 계약 채용 담당자를 고용하여 이를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유연성은 성장 단계를 거치고 있거나 여기저기서 몇 가지 역할을 고용하려는 회사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3. 기업의 채용 퀄리티 유지
기업의 채용에 있어 채용 담당자 중심으로 돌아가면 담당자가 변경되었을 때 그 퀄리티가 유지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채용 서비스 플랫폼은 기업의 채용팀이 그 퀄리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채용 서비스 사용의 단점
전통적인 채용 서비스의 경우 수수료와 커미션 부분이 허들이 될 수 있습니다. 잡포탈에 포스팅하는 경우 선별되지 않은 쏟아지는 이력서로 인해 오히려 인사팀에 과부하가 걸리기도 합니다.
한 조사에 의하면 평균적으로 새 직원을 고용하는 데 약 600만원 정도가 소요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들어 잡포탈의 비용이 올라가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포지션에 따라 헤드헌팅 서비스가 가격적 합리성을 갖추기도 합니다.
이러한 지출 증가는 계속될 것이며, 채용 예산이 빠듯한 회사는 좀 더 어려운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습니다. 경기 침체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직원들이 계속해서 퇴사함에 따라 회사는 직원을 합리적인 비용으로 고용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