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헌팅이란 무엇일까?_헤드헌터 업무 및 자질

  • 27,048
  • 1
  • 4

 헤드헌터 초기 진입자분들이나 혹은 헤드헌터에 관심있는 인사팀분들께 전해드리는 작은 팁~ 오늘은 헤드헌팅이 무엇일까 란 원론적인 물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헤드헌터 업무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1930년대 미국 대공항 상시, 대량실업으로 인해 구직자는 넘쳐나고 구인회사는 않지 않았다고 합니다. 구인회사는 누군가가 필요한 사람만 선별해서 소개해 주기를 바라게 되었는데 이러한 일을 대행하던것이 헤드헌터 업무의 시초라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헤드헌터는 크게 두가지 역할로 구분해볼 수 있는데 고객사를 개발하고 후보자를 소개하는 컨설턴트와 그와 함께 일하며 적임 후보자를 찾는 시서처가 바로 그 역할들입니다.

그럼 각각의 업무의 특징을 살펴보면

#컨설턴트

고객사개발 / 계약서 작성 / 후보자 면담 / 후보자 소개 / 후보자와 고객사간의 인터뷰 조율

급여 조정 중재 / 레퍼런스 체크 / 수수료 회수 / 고객사 관리

#리서처

후보자 서치 / 후보자 인터뷰 / 고객사와 후보자 인터뷰 조율 / 후보자 및 고객사 DB관리

후보자 커리어 컨설팅

 

아시겠지만, 이 두가지를 명확히 구분해서 업무를 수행하는 헤드헌팅 회사도 있고, 이 둘을 다 수행하는 헤드헌터들만 있는 회사도 있답니다.

 

그럼 이런 헤드헌터가 되는 자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헤드헌터는 후보자에게 경력의 조언자이며 고객 회사에는 채용 전문가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채용시장 환경이 열악해지고 영업적인 측면이 강조되면서 주요 특징으로 대인 관계와 영엽력이 많이 거론되어지고 있습니다. 이부분은 물론 경쟁상황에서 좋은 장점이 될 것이지만 좀 더 근본적인 헤드헌터의 자질로 따져보자면, 한 분야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과의 유대관계 및 산업의 특징 이해, 구직자 경력 컨설팅 등을 할 수 있는 역량이 필요하며 산업 동향등을 분석하고 숨어 있는 고객사를 발굴해 낼 수 있는 분석력도 역시 요구되어집니다. 또한 많은 회사의 비딩에 참여할 때 PT능력 역시 요구되어지는 능력 중 하나랍니다. 그리고 주요 이직 사유 중 하나인 급여 및 인사 제도에 대한 기본 지식도 중요한 자질 중 하나가 된다고 합니다.

 

헤드헌팅에 도전해보고 싶으신가요?

벤처피플 김동욱 팀장에게 문의 주세요!

dwkim@vpeople.co.kr

 

-----------------------------------

자주묻는 경력직 커리어 질문Q

Q. 헤드헌터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Q. 수수료 인하를 요구하는 고객사, 어떻게 해야할까요?

Q. 서치펌의 인오더 분배가 공정한가?

 

 

`17.06.02(updated. `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