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L 이것만은 알고가자!
- 10,704
- 0
- 1
PPL 이것만은 알고가자!
이미지 출처: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339356&memberNo=24351202&vType=VERTICAL
PPL의 정의
제품 간접 광고
제품 간접 광고영어: product placement, PPL) 또는 임베디드 마케팅(영어: embedded marketing) 혹은 끼워넣기 마케팅은 간접광고의 대표적인 형태로서, 좁은 의미에서의 PPL은 주로 방송 프로그램 속의 소품으로 등장하는 상품을 말한다.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의 PPL은 협찬을 제외한 대부분의 간접광고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각종 영상 콘텐츠에 자사의 제품·상표·로고 등을 등장시켜 무의식적으로 관객에게 제품이나 브랜드를 홍보하는 마케팅 전략의 하나이다. 지속적으로 제품을 노출시켜 브랜드의 인지도를 향상시키고, 호의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TV 드라마 등에서 PPL이 급증하고 있는데, 특히 방송 프로그램의 외주 제작비율이 확대되면서 외주 제작사인 독립 프로덕션사를 통해 PPL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PPL의 활용도
유튜버
유튜버의 수익구조는 어떨까? 유튜버의 주요수익은 크게
①영상삽입광고
②협찬광고
③후원금으로 나눌 수 있다.
‘영상삽입광고’는 말그대로 영상 중간에 삽입되는 광고를 말하며, 광고플레이 시간과 조회수를 기반으로 계산된 광고수익이 한 달에 한번 애드센스(AdSense:구글이 운영하는 컨텐츠에 광고를 노출하고 그수익을 분배하는 시스템)에 등록된 계좌로 입금된다.
‘협찬광고’는 흔히 PPL과 유사한데, 유튜버가 특정 제품(서비스 포함)에 관한 광고계약을 직접 체결(매니지먼트 계약을 하는 경우도 있음)하고 영상 내에 제품 또는 서비스를 노출시켜 수익을 얻는 방식이다.
‘후원금’은 별도의 후원계좌를 컨텐츠에 게시해 송금을 받거나 라이브 방송을 하는 동안 ‘슈퍼챗’을 통하여 받게 된다. 협찬광고 수익과 슈퍼챗, 후원금은 개별적으로 그때 그때 입금된다.
유튜버가 수익을 얻기 위해서는 오랜기간 정성과 노력을 다해야 한다. 그 노력의 결실이 이제 조금씩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구독자수가 1000명이 넘고 최근 12개월간 총 재생시간이 4000시간 이상이어야 광고를 삽입할 수 있으며, 모바일 라이브 방송은 구독자수가 1만명이 넘어야 가능하다.
PPL의 방향성
사업성을 띄고 있는 매체의 경우 적극적으로 PPL을 활용하고 있으며 그 제도에 대한 효율성 검증에도 철저하다. 미국의 ERMA(Entertainment Resources and Marketing Association)는 마케팅대행사, 영화마케팅담당자, 영화제작사들이 모여 PPL의 기준을 마련해 영화투자금을 모으는데 활용하고 있다. 또한 헐리우드에서 PPL은 제품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몇 초정도 노출되는지, 주연급 배우에 의해 제품이 거론되는지에 따라 금액책정이 달라진다. PPL 효과 측정프로그램을 개발한 'iTVX'사는 브랜드나 제품의 노출 횟수뿐 아니라 전면에 배치되는가, 출연진에 의해 브랜드명이 언급되는가 등의 내용을 프로그램이 재생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보다 정확한 효과 측정 프로그램을 개발해 노출에 합당한 금액을 지불할 수 있다고 한다. 이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효과측정이 얼마나 정확하고 또 가능한 것인지 확언할 수는 없지만 주먹구구식 국내 현실보다 한 발 앞서 있는 것은 인정할 수 밖에 없다. PPL 진행시 브랜드나 제품 컨셉에 대한 고려없이 스타만에 의존하는 것도 문제다.
PPL은 분명 광고주의 구미를 당길만하며 문화산업 발전에 힘이 되고 있다. 또한 소비자가 즐겁게 제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효과적인 마케팅 기법이다. 하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투명한 거래와 합리적인 투자관계, 그리고 철저한 작품분석이 사전에 충분히 검토되어야만 그 효율성 논란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19.11.08(updated. `19.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