싫지않은 노골적인 PPL 신서유기 , 놀면뭐하니

  • 10,656
  • 0
  • 0

 

PPL product placement 콘텐츠 제품을 배치해 간접광고를 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놀면뭐하니? 에서  이효리와 비, 유재석이 뮤비 제작비를 위해 노골적으로 새우깡을 먹거나 

토레타를 마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전에는 드라마나 영화에 제품을 소품으로 활용해 간접적으로 들어낸 모습과는 완전히 다르다. 오히려 

'시리즈로 묶어 광고 찍었으면 좋겠다', '제발 광고찍어줘' 등의 PPL을 제품광고의 개념보다는 예능으로 받아들이는 반응이다. 

출처: MBC centerainment 유튜브 캡쳐 

 

더 킹 : 영원의 군주 ( 30초간 방영)

하지만, 간혹 상황의 흐름에 맞지 않은 PPL광고는 시청자들의 비판을 샀다. 어색하게 끼워 맞춰 극중의 감정선의 흐름을 깨트린다는 것이다.

최근, 밀레니얼 세대 젋은 타겟층을 잡기 위해 전통방식의 PPL보다는 노골적으로 들어내는 방식이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병맛 컨셉으로 흥미를 유발시키거나, 노골적으로 노출해 콘텐츠로 승화시키는 방식이다.

PPL 마케팅 중에서 SPC 의 ‘삼립호빵’이 TVN 신서유기 외전: 삼시세끼 – 아이슬란드 간세끼’와 콜라보를 하며 5분가량의 삼림호빵의 PPL장면이 80만회 이상 조회 수를 기록했다.

 

PPL의 방향성  더알아보기 

출처: TVN 십오야 유뷰브 

 

출처: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8mwTTLSzK7Y#action=share  

놀면뭐하니에서 후 공개한 교촌 PPL이다. '관짝 소년단'이라는 인터넷 밈을 활용해 병맛컨셉으로 'PPL을 살렸다' , '편집레전드', 'PPL 도배해도 되니까 재밌게 만들어주세요' 등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었다. 

이렇게 웃긴 PPL은 콘텐츠로 간주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 빠르게 펴져나가고 있다. PPL 도 하나의 콘텐츠, 하나의 이야기가 돼어야 한다.  

 

 

`20.07.23(updated. `20.07.23)